자바 산술 연산자와 관계 연산자
산술연산자
산술연산자는 표에서 정리한 바와 같이 사칙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와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(%), 변수의 값을 1씩 증가(++) 시키거나 1씩 감소(--)시키는 연산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산술연산자를 사용해서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납니다.
int a=3, b=2;
System.out.println(a+b); // 5 출력
System.out.println(a-b); // 1 출력
System.out.println(a*b); // 6 출력
System.out.println(a/b); // 1 출력 (나누기한 몫을 구함)
System.out.println(a%b); // 1 출력 (나누기한 나머지값을 구함)
System.out.println(a++); // 3 출력 ==> a 값을 먼저 출력한 후 a 값을 1증가시킴 (a=4)
System.out.println(++a); // 5 출력 ==> a 값을 먼저 1증가시킨 후 출력함
System.out.println(b--); // 2 출력 ==> b 값을 먼저 출력한 후 b 값을 1감소시킴 (b=1)
System.out.println(--b); // 0 출력 ==> b 값을 먼저 1감소시킨 후 출력함
관계연산자
관계연산자의 값은 참(true) 이거나 거짓(false)의 둘 중 하나의 값을 도출하는 연산자입니다.
관계연산자의 종류로는 크다(>), 크거나 같다(≥), 작다(<), 작거나 같다(≤), 같다(==), 같지않다(!=),
객체에 해당하는 경우(instanceof) 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.
관계연산자를 이용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면 결과는 true 나 false 둘 중의 하나의 값이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System.out.println(7 > 7); // false 출력
System.out.println(7 >= 7); // true 출력
System.out.println(7 < 7); // false 출력
System.out.println(7 <= 7); // true 출력
System.out.println(7 == 7); // true 출력 ( == 는 같음을 나타내는 관계연산자임)
System.out.println(7 != 7); // false 출력 ( != 는 같지않음을 나타내는 관계연산자임)
System.out.println(7 != 8); // true 출력
산술연산자와 관계연산자를 이용한 자바 프로그램 실습을 위해서 OperatorTest1 클래스 파일를 만들어 실습을 진행합니다.
'자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f 선택문 (0) | 2021.11.21 |
---|---|
자바 논리 연산자 (0) | 2021.11.20 |
Boolean 데이터 타입 (0) | 2021.11.16 |
자바의 다형성(polymorphism) 구현 (0) | 2021.11.16 |
상속과 생성자 (0) | 2021.11.14 |
댓글